
-
엔코더 상이 바뀐 경우 (엔코더 상변환)
<엔코더 상이 바뀐 경우 (엔코더 상변환)>
1. AUTO 모드에 있다면, HAND 모드로 전환합니다. 2. HAND에서 PARA 버튼을 3초 동안 누르면 P0으로 이동합니다.
3. P0에서 HAND/AUTO 버튼을 3초간 눌러 FP0으로 이동합니다. 4. OPEN 버튼을 여러번 눌러서 FP19로 이동해주세요.
5. FP19 이동 후, PARA 버튼을 누르면 프롬프트 점(".")이 아랫단에 표시됩니다.
6. 하단에 현재 상 값이 표기 되어 있습니다. 현재 상 값이 0이면 1로, 1이면 0으로 변경해주세요.
7. 변경하셨다면 PARA 버튼을 눌러 프롬프트 점(".")을 윗단으로 올려줍니다. 8. CLOSE 버튼을 여러번 눌러 FP0으로 이동합니다. 9. PARA 버튼을 눌러 변경을 저장 시켜줍니다. (저장이 완료되면 HAND 모드로 자동으로 나갑니다.)
※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시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24-11-16
+
-
충돌로 하단바가 이탈 된 경우 긴급 복구법 (KAD-2000 기본형, KAD-2500 슬림형, KAD-1500 실속형)
<충돌로 하단바가 이탈된 경우 긴급 복구법 (KAD-2000 기본형, KAD-2500 슬림형, KAD-1500 실속형)>
차량이 많이 이동하는 현장에서 차량과 도어의 충돌로 인해 도어의 하단바가 레일에서 이탈된 경우 아래의 스탭에 따라 하단바를 긴급 복구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대처법을 따라 주십시오.
1. HAND/AUTO 버튼을 1회 눌러서 HAND 모드로 전환
2. HAND 모드에서 HAND/AUTO 버튼을 3초간 길게 눌러 CAL1으로 이동 (닫힘 위치 설정 단계에서 하단바 복구)
3. CAL1 상태에서 OPEN(▲)/CLOSE(▼) 버튼을 눌러 문이 하단바가 이탈된 상태에서 올라가고 내려가는지 확인하세요. (단, OPEN(▲) 혹은 CLOSE(▼)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도어가 구동됨)
4. 이탈된 하단바 부위을 들어서 브러쉬가 있는 레일 안으로 넣어주세요. 양쪽 다 이탈된 경우에는 한 쪽 부위를 먼저 넣어주시고, 그 후 다른 쪽 부위를 넣어주세요. (OPEN(▲)/CLOSE(▼) 버튼을 적절히 누르시면서 한쪽 하단바를 들어주시면 하단바를 레일 안에 넣을 수 있습니다.)
5. 하단바가 모두 레일안으로 들어갔다면 CAL1 상태에서 OPEN(▲)/CLOSE(▼) 버튼을 눌러 문이 올라가고 내려가는지 확인하세요.
6. 문이 올라가고 내려가는데 문제가 없다면, 상태에서 OPEN(▲)/CLOSE(▼) 버튼을 눌러 문을 원하는 최저 높이로 맞춰주세요.
7. OPEN(▲) 혹은 CLOSE(▼) 버튼을 눌러 도어를 희망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 (단, OPEN(▲) 혹은 CLOSE(▼)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도어가 구동됨)
8. 희망하는 닫힘 위치에서 HAND/AUTO 버튼을 1회 눌러 CAL2로 이동 (열림 위치 설정 단계)
9. OPEN(▲) 혹은 CLOSE(▼) 버튼을 눌러 도어를 희망하는 열림 위치로 이동 (단, OPEN(▲) 혹은 CLOSE(▼)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도어가 구동됨) (※ 도어가 프레임을 넘지 않게 주의)
10. PARA 버튼을 눌러 HAND 모드로 나감 (단, OLS에 녹색불이 점등되어야 정상 완료임, CLS에 녹색불이 점등된 경우 엔코더 상을 바꿔주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 해야 함. [링크: 엔코더 상변환 참조])
11. HAND 모드에서 OPEN(▲)과 CLOSE(▼) 버튼을 눌러 문이 희망 위치까지 열고 닫히는지 확인 (구동이 비정상일 경우 적색 비상스위치를 눌러 구동 정지)
12. AUTO모드로 사용할 경우 HAND/AUTO 버튼을 1회 눌러 AUTO로 변경 (AUTO모드에서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도어가 자동으로 내려옴)
※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 시 "☎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7
+
-
2단 열림 설정 방법 - 엔코더 타입
<2단 열림 설정 방법 - 엔코더 타입> 설명: 2단 열림 설정은 사람과 지게차 모두 출입이 잦은 현장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사람이 주는 신호(1점 스위치)는 사람의 키 높이까지 문을 열리게 하며, 차량이 주는 신호(루프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팔콘) 센서, 리모콘 등)는 차량의 높이까지 문을 열리게 합니다. 2단 열림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내부 온도 유지, 먼지 유입 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닙니다. 아래의 2단 열림 설정 방법을 따라 하십시오. 1. 전원을 올리고, HAND/AUTO 버튼을 눌러 HAND 모드로 가세요. 2. PARA 버튼을 5초간 길게 눌러 P0로 가세요.3. CLOSE(▼) 버튼을 눌러 P13으로 가세요. 4. PARA 버튼을 누르세요.5. OPEN(▲) 버튼을 눌러 하단의 값을 '0'에서 '1'로 바꿔 주세요. 6. PARA 버튼을 누르세요.7. CAL1 상태에서 OPEN(▲)/CLOSE(▼) 버튼을 눌러 원하는 최저 높이를 맞춰 주세요. 8. HAND/AUTO 버튼을 눌러서 CAL2로 가주세요.9. CAL2 상태에서 OPEN(▲) 버튼을 눌러 보행자가 왕래할 수 있는 높이까지(사람 키 높이) 문을 올려주세요.10. STOP 버튼 (컨트롤러 커버의 빨간 버튼)을 눌러주세요. 곧, 디스플레이 창에 “CAL2”와 “2nd”라고 표시됩니다. 11. STOP 버튼에 흰색 화살표가 있는 경우, STOP 버튼을 우측으로 돌려서 풀어준 후 (STOP 해제 후), OPEN(▲) 버튼을 눌러 원하는 최고 높이를 맞춰 주세요. (STOP 버튼에 흰색 화살표가 없는 경우, OPEN(▲) 버튼을 눌러 원하는 최고 높이를 맞춰 주세요.)(주의: 시트가 프레임 높이를 넘지 않게 하세요.)12. PARA 버튼을 눌러서 HAND 모드로 나가 주세요.(주의: OLS램프에 점등 되어있는지 확인해주세요. CLS램프가 점등된 경우는 엔코더 상이 바뀐 경우 입니다.) ※엔코더 상이 바뀐 경우※ ① HAND에서 PARA 버튼을 4초동안 누르면 P0으로 이동됩니다. ② P0.에서 HAND/AUTO 버튼을 4초간 눌러 FP0.으로 이동 후, OPEN 버튼을 눌러서 FP19.번으로 이동해주세요. ③ FP19. 이동 후, PARA 버튼을 누르면 쩜이 하단표기로 이동됩니다. ④ 하단에 0 또는 1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0번이면 1번으로 / 1번이면 0번으로 변경해주세요. ⑤ 변경하셨다면 PARA 버튼을 눌러 쩜을 위로 올려주시고 CLOSE 버튼을 눌러 FP0.번으로 이동하신 뒤 PARA 버튼을 눌러 저장시켜줍니다. 그 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주세요.(도어폭측정) ENCODER 상이 정상이라면,13. CLOSE(▼) 버튼을 눌러 문을 닫아보세요. (주의: 문제가 있는 즉시 STOP 스위치를 누르세요.)14. OPEN(▲) 버튼을 눌러 문을 열어보세요. (주의: 문제가 있는 즉시 STOP 스위치를 누르세요.)*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시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6
+
-
컨트롤러의 버튼을 눌렀는데 반응이 없는 경우
<컨트롤러의 버튼을 눌렀는데 반응이 없는 경우> LOCK/UNLOCK 스위치가 LOCK이 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디스플레이 보드 (화면이 나오는 보드로 컨트롤러 커버에 부착되어 있음) 혹은 메인 보드 (컨트롤러 박스 안에 있으며, 아크릴 혹은 철제 보호커버로 덮혀 있음)의 LOCK/UNLOCK 스위치가 LOCK으로 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1. 컨트롤러 LOCK/UNLOCK 스위치 UNLOCK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하십시오. - 보드가 검은색인 경우, 디스플레이보드 왼쪽 아래에 위치한 LOCK/UNLOCK 스위치를 UNLOCK으로 해주십시오.- 보드가 녹색인 경우, 컨트롤러 박스를 열고 보호 커버를 드라이버로 풀어 위로 올려 빼십시오. 메인보드 왼쪽 아래에 위치한 LOCK/UNLOCK 스위치를 UNLOCK으로 해주십시오.2. 보호 커버를 닫으시고, 컨트롤러의 버튼을 눌러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십시오. ※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시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6
+
-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보드 (화면이 나오는 보드로 컨트롤러 커버에 부착되어 있음)와 메인 보드 (컨트롤러 박스 안에 있으며, 아크릴 혹은 철제 보호커버 덮여 있음)의 연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입니다. 1. 컨트롤러 박스를 열고 보호 커버를 풀어 주십시오. 2. 디스플레이 보드와 메인 보드의 연결선인 플랫 케이블(회색의 납작한 케이블)의 양끝 연결 부위를 디스플레이보드와 메인보드 소켓에서 모두 빼서 다시 재고정 해주십시오. 3. 풀었던 보호커버를 재 장착해주시고,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십시오. 화면이 여전히 나오지 않는다면, 점검을 받고 디스플레이보드나 메인보드를 교체 하셔야 합니다. ※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시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6
+
-
Er-3이 표시된 상태
<Er-3이 표시된 상태> 바닥에 설치된 루프선에 3분 이상 금속 물체가 놓여 있는 경우, 컨트롤러는 안전상의 이유로 에러코드 Er-3을 표시하고 동작을 멈추게 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과정을 따라 주십시오. 1. 바닥 루프선 위에 금속 물체를 모두 제거해주십시오. 컨트롤러의 전원을 내리신 후 디스플레이 창의 글씨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하시고 전원을 재인가해 주십시오. 전원 인가 후 Er-3가 사라졌다면, 자동문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입니다.2. 전원 인가 후, 문이 열린 상태에서 루프램프가 점등된다면 루프센서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입니다. 당사 홈페이지의 ‘루프(LOOP)램프가 점등되고 문이 열린 상태’를 따라 해결하여 주십시오. ([링크: 루프가 점등되는 경우]) ※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시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5
+
-
Er-2가 표시된 상태
<Er-2가 표시된 상태> 자동문 사이에 (포토센서 사이에) 3분 이상 물체가 놓여져 있는 경우, 컨트롤러는 안전상의 이유로 에러코드 Er-2을 표시하고 동작을 멈추게 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과정을 따라 주십시오. (포토센서는 자동문의 양쪽 기둥에서 사람 무릎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 동그란 단추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1. 포토센서 사이의 물체를 모두 제거해주십시오. 컨트롤러의 전원을 내리신 후 디스플레이 창의 글씨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하시고 전원을 재인가해 주십시오. 전원 인가 후 Er-2가 사라졌다면, 자동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입니다. 평소처럼 이용해주세요.2. 전원 인가 후, 문이 열린 상태에서 포토램프가 점등된다면 포토센서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입니다. 당사 홈페이지의 ‘포토(PHOTO)램프가 점등되고 문이 열린 상태’의 해결법을 따라 주십시오. ([링크: 포토센서가 점등되는 경우] ※ 위의 과정 중에 문제가 있을시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5
+
-
루프(LOOP) 램프가 점등되고 문이 열린 상태
<루프(LOOP) 램프가 점등되고 문이 열린 상태> 루프센서는 바닥에 깔린 루프선(전선)과 루프디텍터로 이루어집니다. 루프램프가 점등되고 문이 내려오지 않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1) 금속물체가 루프선 위에 오랜 시간 위치하는 경우. (2) 루프디텍터의 감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게 설정된 경우. (3) 바닥에 균열 또는 흔들림이 있거나, 그로 인해 루프선이 손상된 경우. 아래의 순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해주십시오. 1. 바닥 루프선 위에 금속 물체를 모두 제거해주십시오. LOOP에 불이 꺼지고 AUTO상태에서 문이 내려오면 문제가 해결된 것이고 이는 (1)의 경우에 해당됩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음 스탭을 진행해주십시오. 2. 컨트롤러 박스 내에 위치한 하늘색 루프디텍터를 찾으십시오. (컨트롤러 내부 우측 상단에 위치한 부품으로 담배갑만 한 크기입니다.) 루프디텍터에 Detect 램프에 불이 점등되어 있을 것입니다. 루프디텍터의 감도를 낮추어서 해결해 보십시오. (감도를 돌려서 조절하는 루프디텍터의 경우 Detect 램프 우측에 위치한 검정색 동그란 스위치의 화살표 방향을 확인하시고, 화살표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여 감도를 조절하여 주십시오. 통상 화살표는 3~7시 방향에 위치합니다. 감도를 토글 스위치로 조절하는 루프디텍터의 경우 스위치를 Medium이나 Low로 낮춰 주십시오.) Detect 램프가 꺼지고 정상적으로 문이 내려오면 (2)의 경우에 해당됩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음 스탭을 진행해주십시오.3. 이전 스탭에서 해결되지 않았다면 (3)의 경우에 해당됩니다. 루프 감도 조절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루프선이 매설되어 있는 바닥의 라인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주십시오. 실리콘이 찢어지거나, 루프라인 주위에 균열이 있는 부분(시멘트가 으스러짐, 보도블록 간의 유격)이 있는지 확인해주십시오. 또한, 균열들 사이로 루프선이 노출되어 있는지도 꼼꼼히 확인해 주십시오. 육안으로는 확인은 되지 않지만, 실리콘 아래 위치한 루프선이 찢어지거나 끊어진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실리콘 위에 놓인 작은 돌 조각이나 작은 금속 조각 등을 차량이 밟고 지나가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지게차나 차량의 출입이 빈번한 현장에서 많이 발생 됩니다. 위와 같은 모든 경우에 해당된다면 AS신청하시어 루프선을 재매설하셔야 합니다. ※ 위의 경우로도 문제점이 파악되지 않으실 경우 "☎1566-8219"로 연락 주세요.
2017-09-04
+